본문 바로가기
경제

세종시 땅값 전망

by 어쿠스틱워니 2019. 12. 29.

세종시 땅값 전망





세종시 땅값 전망 궁금하신가요? 세종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뿐만 아니라 세종시와 인접한 부분의 땅값까지 치솟는등 정말 부동산 투자 좀 한다하시는 분들에게 세종시 땅값만큼 핫한곳이 있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세종시 땅값 전망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선 세종시 땅값 전망을 살펴보기 전에 가장 먼저 살펴봐야할게 있습니다. 바로 인구 추세입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인구는 33만 2,098명입니다. 특히 주의깊게 살펴봐야할것은 2012년부터 세종시 인구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부동산 투자에는 이런 명언이 있습니다.



"땅값은 사람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올라간다"





들어본 분도 계시겠지만 부동산 특히 땅값이라는게 사람이 많이 있으면 있을수록 오를수밖에 없는 구조라는거 알고 계실것입니다. 하지만 세종시 땅값이 오르다 타격을 입는 조정이 생깁니다. 바로 세종시가 투기지역으로 지정된것입니다. 이로 인해 세종시 땅값은 많이 하락하게 됩니다. 



특히 세종시 땅값 전망을 어둡게 만드는것은 국토교통부가 세종시를 투기지역에서 풀어줄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문재인 부동산 정책의 특성상 규제가 점점 강해질것으로 보여 세종시 땅값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이미 많이 오른 상태이기때문에 초반에 들어가신분들은 무조건 이익을 보셨죠.


하지만 투기지역으로 묶이면 거래가 준다는것이 기존 세종시 주택 보유자들에게는 악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정부는 왜 세종시를 투기지역에서 풀어주지 않으려하는걸까요? 이유는 통계청 자료를 보면 알수있습니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살펴보면 주택 실거주자에 대한 혜택을 지키되 투기목적의 거래를 막고자하는 방향이 강하다는건 이미 알고 계실겁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는 약간 기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유는 세종시에 사는 사람의 경우 다주택자가 20.6%정도 인데 이는 전국 3위를 기록하는 수치입니다. 이 이야기인 즉슨 세종시의 경우 집값상승을 노리고 투자를 한 분들이 많다는 이야기이고 문재인 정부는 이를 투기로 봤다는 이유겠죠.


하지만 세종시는 성장할수밖에 없는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의 특성상 많은 시설들이 생겨나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투기지역에서 벗어난다면 분명히 세종시 땅값 전망이 좋게 변할수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마 많은 전문가분들도 이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하는것 같습니다.





문제는 정부가 세종시를 언제 투기지역에서 풀어주느냐하는것인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현재 문재인정부 부동산정책에서는 세종시가 투기지역에서 풀려나기 쉽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런 투기지역 결정에 많은 분들은 불만을 이야기하고 있고 저도 어느정도 공감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제 새로 생겨난 신도시의 경우 집값이 빠르게 오르는건 어쩔수없는 사실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세종시를 키우려고 본인들이 선택한 공무원 특별공급 50%를 하지 말았어야 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흔히 하는말로 세종시에 집을 가지고있는 사람은 죄다 공무원이라는 소리가 나돌 정도니 말이죠.




저는 모든 상황을 종합해 볼때 세종시의 앞날은 부산시와 남양주시가 보여주고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조정대상지역에 속해있던 부산시와 남양주시는 3년만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가 된후 거래물건이 순식간에 사라질정도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난것을 알수있습니다. 





오늘은 세종시 땅값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해봤습니다.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보니 세종시에 계시는 분들은 조금 억울할거란 생각도 듭니다. 사실 서울과 비교해서 투기지역을 선정하기에는 집값이 차이가 워낙 많이 나니까 말이죠. 하지만 이미 정해진 정책이기때문에 불만을 갖기 보다는 때를 기다른게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상 세종시 땅값 전망 포스팅을 마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투자가 언제나 성공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전망  (0) 2020.01.08
토스 송금취소 방법  (0) 2019.12.31
해외송금 한도  (0) 2019.12.29
네이버 부동산 매물  (0) 2019.12.27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1) 2019.12.27